목차
1. 기업개요
2. 신용등급
3. 재무상태
4. 현장요약
5. 용역수주실적
6. 건설사 정보 쉽게 찾아보기
(주)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는 1991년 창업 이래, 도로, 상하수도, 도시계획 등 사회간접자본시설 분야의 종합 설계, 건설사업관리 및 유지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온 전문 기업입니다. 본사는 경기도 구리시 체육관로74번길 41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50여명의 임직원과 4000여 건의 실적, 80여 건의 특허 및 신기술 지정으로 국토 및 산업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풍요로운 생활공간 창조를 통해 공공의 이익 실현에 기여하고 있으며, 우수한 기술력과 신용으로 1998년부터 매년 우수용역 업체로 지정되고 있습니다.
경호엔지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의 최신 신용등급은 25년 2월 평가 결과, 신용보증기금 BASA 등급 기준 '우수E1'과 NICE디앤비 CRI 등급 기준 'A3'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국 동종업계 대비 상위권으로 사업의 안정성이 매우 높으며 모형별 진단결과, 사업안정성 및 재무상태 건전도는 상위권으로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경호엔지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는 2023년 매출 1,234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26%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86억 원으로 15.45% 감소하며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자기자본비율은 62.65%로 여전히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부채비율이 59.61%로 증가하며 재무 부담이 다소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순이익 증가율이 -32.2%를 기록하며 영업이익률(6.97%)과 순이익률(5.44%)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비용 관리 및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매출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 만큼, 신규 성장 동력 확보와 효율적인 비용 구조 최적화가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호엔지니어링에서 진행한 건설현장은 곳 155곳입니다. 경호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는 자동차 관련 시설 및 근린생활시설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친환경 및 자원순환 관련 공사 비중도 높은 편입니다. 공동주택이나 주거시설 관련 공사는 상대적으로 적어 상업·산업 기반 시설에 특화된 경향을 보입니다. 공사는 수도권(경기도)과 경상권(경북, 경남)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충청권(충남)과 전라권(전북)에서도 일정 비율의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서울 내 공사 비중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수도권에서도 주로 경기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소형 및 중형 규모의 신축 건축물에 강점을 가진 회사로, 특히 신규 개발 프로젝트에 특화된 사업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대형 프로젝트 확대 및 리모델링 시장 진출 여부가 지속 성장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호엔지니어링이 진행하고 있는 건설현장은 총 155곳 입니다. 각 건설현장의 상세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산업의역군'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경호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는 1998년부터 매년 우수 용역 업체로 지정 받으며 다양한 공공 및 민간 프로젝트에서 용역을 수주하고 있습니다. 최근 계약된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 인프라 및 재개발 프로젝트에 강점을 가진 용역 업체로, 지속적인 국가 및 지자체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수주 실적 1,899억 원(전년 대비 19% 증가)을 기록하며, 필리핀을 중심으로 한 해외 수주 확대와 국내 설계·건설사업관리(CM) 수주 증가에 힘입어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2,000억 원을 목표로 하며, 2030년까지 수주 3,000억 원을 달성하는 ‘경호비전 2030’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경호엔지니어링은 2010년부터 필리핀 시장에 진출하여 다양한 인프라 사업을 수행하며 필리핀 내 최강자로 자리 잡았는데요. 최근에는 필리핀 클락에 ‘글로리 호텔(The Glory Hotel(Clark))’을 건설 및 운영하며 지역사회 기여와 구성원 복지를 위한 활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캄보디아 등 동남아 시장으로 수주 행보를 확대하며, EPC(설계·시공·조달) 및 PMC(프로젝트 총괄 관리) 영역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내에서는 운영관리(O&M) 사업을 확대하고, 자원순환 EPC, 민간투자사업, 철도안전진단, 내진성능평가 시장으로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해 안전기술협력실 및 감사 조직을 운영하며, 사업 원가·기술·법률적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 중이라고 합니다.
다른 컨텐츠 보러가기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산군 콘텐츠 저작권 안내
모든 산군 콘텐츠는 관련 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무단 전재, 재배포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