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DB
    • 현장DB
    • 입찰DB
    • 수주DB
    • 평판DB
    • 뉴스DB
    • 스마트건설DB
  • 산군세일즈
  • 건설정보
  • 요금안내
  • 산군뉴스 구독

2025년 해외건설 수주, 중동이 절반 차지 - 시장 전망은?

2025년 해외건설 수주, 중동이 절반 차지 - 시장 전망은?

 

 

국내 건설사들이 연초부터 대형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하며 해외건설 시장에서 빠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중동 지역에서의 대규모 플랜트 및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올해 목표인 500억 달러 수주의 약 9.5%를 두 달 만에 달성했습니다.

 

2025년 해외건설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은 중동, 북미·태평양, 아시아,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며 수주 실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체코 두코바니 원전 프로젝트 계약이 이르면 이달 중 체결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연내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목차

1. 올해 해외건설 수주 현황 – 47.5억 달러 달성

2. 지역별 수주 현황

3. 공정별 수주 현황

4. 중동에서만 54%… 삼성E&A, UAE 메탄올 플랜트 수주 ‘최대’

5. 2025년 해외건설 시장 전망 – 산업설비·에너지 인프라가 핵심

6. 해외건설 수주 실적 알아보기

 

 

 

1. 올해 해외건설 수주 현황 – 47.5억 달러 달성

 

11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의 올해 해외건설공사 누적 수주액은 47억4770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1억5010만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연초부터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2. 지역별 수주 현황

 

지역별 수주 현황을 살펴보면, 중동 지역이 전체 수주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 중동: 25억7727만 달러 (전체 수주의 54%)
  • 북미·태평양: 8억2079만 달러 (17%)
  • 아시아: 5억9584만 달러 (12.5%)
  • 아프리카: 4억447만 달러 (8.5%)
  • 중남미: 3억2521만 달러 (6.8%)
  • 유럽: 2413만 달러 (0.5%)

     

    지역별 수주 현황(출처: 해외건설협회)
    지역별 수주 현황(출처: 해외건설협회)

 

특히 삼성E&A,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쌍용건설 등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활발한 수주 성과를 내면서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3. 공정별 수주 현황

 

공정별로 분석해보았을 때는, 특히 산업설비와 전력 인프라 부문이 전체 수주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중동·북미 시장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산업설비: 24억4942만 달러 (전체의 51.6%)
  • 건축: 9억9192만 달러 (20.9%)
  • 토목: 5억1605만 달러 (10.9%)
  • 전기: 4억8659만 달러 (8.6%)
  • 통신: 3339만 달러 (0.7%)
  • 용역: 3억4824만 달러 (7.3%)

     

공정별 수주 현황(출처: 해외건설협회)
공정별 수주 현황(출처: 해외건설협회)

 

이러한 수주 증가의 배경에는 중동 지역의 플랜트·에너지 프로젝트 확대와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의 인프라 수요 증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4. 중동에서만 54%… 삼성E&A, UAE 메탄올 플랜트 수주 ‘최대’

 

올해 가장 많은 수주 규모를 기록한 지역은  중동이었죠. 이 중 삼성E&A가 UAE 국영석유기업 아드녹(ADNOC)이 발주한 'UAE 타지즈(Taziz) 메탄올 플랜트' EPC(설계·조달·공사) 프로젝트를 16억8500만 달러에 수주하면서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삼성E&A 'UAE 타지즈(Taziz) 메탄올 플랜트'  수주(출처: 산업의역군)
삼성E&A 'UAE 타지즈(Taziz) 메탄올 플랜트'  수주(출처: 산업의역군)

 

 

한편, 현대건설은 지난 1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송전 공사' 2건을 수주하며 중동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우디 전력청(SEC)이 발주한 메디나와 젯다 지역의 송전선로 건설 사업으로, 공사비는 총 3억8826만 달러 규모입니다.

 

현대건설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송전 공사 수주(출처: 산업의역군)
현대건설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송전 공사 수주(출처: 산업의역군)

 

중동 지역은 석유·가스 플랜트,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 등이 지속적으로 발주되면서, 국내 건설사들이 가장 활발하게 수주에 나서는 지역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5. 2025년 해외건설 시장 전망 – 산업설비·에너지 인프라가 핵심

 

전문가들은 올해 국제 유가가 급락하지 않는 한, 중동 지역에서 친환경 에너지 및 인프라 부문의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며, 국내 건설사들의 추가 수주 기회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투자개발형 사업 활성화 방안’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경우, 국내 기업들이 해외 인프라 및 플랜트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6. 해외건설 수주 실적 알아보기

 

먼저 아래 배너를 통해 ‘산업의역군’에 접속해주세요.

배너 클릭하여 해외수주실적 보러가기(출처: 산업의역군)
배너 클릭하여 해외수주실적 보러가기(출처: 산업의역군)

 

좌측 메뉴바의 ‘수주DB’를 클릭한 뒤, 상단의 ‘공사 위치’ 필터를 ‘해외 전체’로 설정해주세요. 그리고 건설사와 기간 등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편하게 검색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수주DB(출처: 산업의역군)
수주DB(출처: 산업의역군)

 

 

다른 수주 콘텐츠 보러가기

GS건설, 봉천14구역 재개발 사업 수주… 올해 정비사업 수주액 1조9147억 원 돌파

2024년 10대 건설사 도시정비사업 수주실적 순위 - 현대건설, 포스코이앤씨, GS건설 순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공유하기

추천 콘텐츠

이런 질문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