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의 시공능력은 그 회사가 얼마나 성공적으로 건축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시공능력은 건설사의 평판, 수익성, 신뢰도에 직결되며, 정부나 민간 부문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그렇기 때문에 시공능력이 높은 건설사들을 소위 1군 건설사, 2군 건설사라고 칭하고 있고 이에 속하는 건설사들의 브랜드 신뢰도는 높을 수 박에 없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1군 건설사의 기준은 무엇인지, 그리고 2024년 도급순위(시공순위)는 어떻게 되는지, 각 건설사별 매출액, 영업이익, 신용등급 등 자세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목차 >
1. 1군 건설사란?
2. 2024년 1군 건설사 리스트
3. 2024년도 1군 건설사 매출액, 영업이익 등 상세정보 확인
3-1) 산업의역군 접속하기
3-2) 기업DB > 기업 검색
3-3) 기업 검색
3-4) 기업 상세보기
1. 1군 건설사란?
'1군 건설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한국의 건설 업계에서 시공능력, 매출 규모, 기술력, 재무 안정성 등 다양한 지표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건설사들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현재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에 따라 1군 건설사, 2군 건설사, 3군 건설사 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
2023년 7월 10일부터 개정된 유자격자명부제를 기준으로 시행에 들어갔으며, 시공 능력 평가액에 따라 현재 7등급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참고로 개정 전에는 6000천 억원 이상이 1등급이었습니다)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므로 공식 용어는 1등급 건설사, 2등급 건설사 등이지만 의미는 동일하므로 1군 건설사, 2군 건설사로 불러도 상관은 없습니다.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에 따르면 "공사배정 규모에 따라 해당 등급별 유자격 명부에 등록한 자중 입찰공고 또는 입찰 설명서에서 정한 입찰 참가 자격요건에 적합한 자로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는데요.
쉽게 말하자면 등급별 유자격 명부제는 업체 규모에 따라 균등한 입찰 참여 기회를 보장하는 제도로, 건설업체를 시공 능력 평가액에 따라 몇 개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등급별로 공사배정 범위를 정한 후 해당 등급 업체에게만 대표사로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2. 2024년 1군 건설사 리스트
유자격자명부제 등급 표에 따르면 1군 건설사의 토건 시공 능력 평가액 기준은 4,200억 원 이상이죠. 따라서 2024년 1군(1등급) 건설사는 도급순위 1위인 삼성물산부터 77위인 대방산업개발(주)까지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지난 7월 31일 국토교통부에서 공시한 '2024년도 건설사 토건 시공능력평가 순위'에 따르면, 삼성물산이 11년 연속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시공능력평가액(시평액)이 30조 원을 돌파하면서,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는데요. 이는 삼성물산이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에서의 높은 수행 능력과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며 건설업계의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주네요. 2위는 현대건설, 3위는 대우건설, 4위는 현대엔지니어링, 5위는 디엘이앤씨가 차지했습니다. 나머지 순위는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1군 건설사 리스트
1위 삼성물산(주) / 31조 8,536억 원 / 서울특별시 1위
2위 현대건설(주) / 17조 9,436억 원 / 서울특별시 2위
3위 (주)대우건설 / 11조 7,087억 원 / 서울특별시 3위
4위 현대엔지니어링(주) / 9조 9,809억 원 / 서울특별시 4위
5위 디엘이앤씨(주) / 9조 4,921억 원 / 서울특별시 5위
6위 지에스건설(주) / 9조 1,556억 원 / 서울특별시 6위
7위 (주)포스코이앤씨 / 9조 1,125억 원 / 경상북도 1위
8위 롯데건설(주) / 6조 4,699억 원 / 서울특별시 7위
9위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5조 3,711억 원 / 서울특별시 8위
10위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 5조 1,272억 원 / 서울특별시 9위
11위 (주)한화 / 4조 9,673억 원 / 서울특별시 10위
12위 호반건설(주) / 4조 343억 원 / 서울특별시 11위
13위 디엘건설(주) / 3조 4,698억 원 / 인천광역시 1위
14위 두산에너빌리티(주) / 3조 1,224억 원 / 경상남도 1위
15위 제일건설(주) / 2조 8,251억 원 / 전라남도 1위
16위 중흥토건(주) / 2조 7,709억 원 / 광주광역시 1위
17위 계룡건설산업(주) / 2조 3,120억 원 / 대전광역시 1위
18위 (주)서희건설 / 2조 6,707억 원 / 경기도 1위
19위 코오롱글로벌(주) / 2조 3,963억 원 / 경기도 2위
20위 금호건설(주) / 2조 2,876억 원 / 전라남도 2위
21위 아이에스동서(주) / 2조 2,390억 원 / 서울특별시 12위
22위 동부건설(주) / 2조 1,881억 원 / 서울특별시 13위
23위 대방건설(주) / 2조 1,254억 원 / 경기도 3위
24위 (주)태영건설 / 2조 176억 원 / 서울특별시 14위
25위 (주)케이씨씨건설 / 2조 633억 원 / 서울특별시 14위
26위 쌍용건설(주) / 1조 3,437억 원 / 서울특별시 15위
27위 우미건설(주) / 1조 7,542억 원 / 광주광역시 2위
28위 한신공영(주) / 1조 6,426억 원 / 경기도 5위
29위 (주)반도건설 / 1조 6,414억 원 / 서울특별시 16위
30위 (주)에이치디앤아이한라 / 1조 5,693억 원 / 서울특별시 17위
31위 (주)동원개발 / 1조 5,383억 원 / 부산광역시 1위
32위 두산건설(주) / 1조 5,150억 원 / 서울특별시 18위
33위 신세계건설(주) / 1조 4,944억 원 / 서울특별시 19위
34위 (주)주야씨앤에이 / 1조 4,501억 원 / 서울특별시 20위
35위 (주)호반산업 / 1조 3,857억 원 / 경기도 6위
36위 (주)에이치제이중공업 / 1조 3,797억 원 / 부산광역시 2위
37위 (주)비에스한양 / 1조 3,797억 원 / 인천광역시 2위
38위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주) / 1조 3,249억 원 / 서울특별시 21위
39위 효성중공업(주) / 1조 2,930억 원 / 서울특별시 22위
40위 에스지씨이앤씨 / 1조 2,909억 원 / 서울특별시 23위
41위 (주)진흥기업 / 1조 2,155억 원 / 인천광역시 3위
42위 (주)풍양산업 / 1조 1,973억 원 / 경기도 7위
43위 (주)라임산업 / 1조 1,725억 원 / 광주광역시 3위
44위 씨제이대한통운(주) / 1조 985억 원 / 서울특별시 24위
45위 (주)금강주택 / 1조 300억 원 / 서울특별시 25위
46위 삼성에스앤에이(주) / 9,870억 원 / 서울특별시 26위
47위 에이치에스화성(주) / 9,388억 원 / 대구광역시 1위
48위 (주)라인건설 / 9,337억 원 / 전라남도 3위
49위 (주)대광건영 / 8,474억 원 / 광주광역시 4위
50위 양우건설(주) / 7,927억 원 / 서울특별시 27위
51위 (주)서한 / 7,615억 원 / 대구광역시 2위
52위 중흥건설(주) / 7,509억 원 / 전라남도 4위
53위 대보건설(주) / 7,180억 원 / 경기도 8위
54위 자이에스앤디(주) / 6,763억 원 / 서울특별시 28위
55위 (주)케이알산업 / 6,713억 원 / 경기도 9위
56위 일성건설(주) / 6,681억 원 / 경기도 10위
57위 (주)시티건설 / 6,617억 원 / 서울특별시 29위
58위 신동아건설(주) / 6,444억 원 / 경기도 11위
59위 남광토건(주) / 6,398억 원 / 경기도 12위
60위 (주)태왕이앤씨 / 6,373억 원 / 대구광역시 3위
61위 동문건설(주) / 6,320억 원 / 서울특별시 30위
62위 엘티삼보(주) / 6,302억 원 / 부산광역시 3위
63위 극동건설(주) / 6,188억 원 / 부산광역시 4위
64위 (주)금성백조주택 / 5,950억 원 / 대전광역시 2위
65위 동원건설산업(주) / 5,871억 원 / 경기도 13위
66위 에이스건설(주) / 5,691억 원 / 서울특별시 31위
67위 디에스종합건설(주) / 4,857억 원 / 광주광역시 5위
68위 일신건영(주) / 4,696억 원 / 경기도 14위
69위 (주)서도이엔지 / 4,685억 원 / 서울특별시 32위
70위 (주)동양 / 4,665억 원 / 서울특별시 33위
71위 삼부토건(주) / 4,626억 원 / 서울특별시 34위
72위 서해종합건설(주) / 4,585억 원 / 서울특별시 35위
73위 (주)대명건설 / 4,513억 원 / 강원특별자치도 1위
74위 보광종합건설(주) / 4,491억 원 / 광주광역시 6위
75위 풍림산업(주) / 4,268억 원 / 서울특별시 36위
76위 경남기업(주) / 4,251억 원 / 충청남도 1위
77위 대방산업개발(주) / 4,244억 원 / 서울특별시 37위
3. 2024년도 1군 건설사 매출액, 영업이익 등 상세정보 확인
1군 건설사에 해당하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디엘이앤씨, 지에스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에스케이에코플랜트,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에 대한 기업정보가 궁금하신가요? 그럼 아래의 방법을 따라 각 건설사에 대한 상세한 재무상태, 현장정보, 특허 등에 대한 기업 상세정보를 살펴보세요.
3-1) 산업의역군 접속하기
1군 건설사에 대한 기업상세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아래의 링크를 눌러 ‘산업의역군’ 홈페이지에 접속해 주세요.
화면 상단의 기업검색 창을 활용해서 '삼성물산', '현대건설'과 같이 기업명을 바로 검색해줄게요. 1군 건설사의 경우 첫 페이지에 뜨기 때문에 검색을 하지 않고도 바로 확인이 가능해요. 각 기업에 대한 리뷰, 매출액, 신용등급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 1군 건설사들과 협력이력이 있는 현직자 분들의 리뷰도 100개가 넘게 쌓여있으니 무료로 열람해보시고 현장이슈나 대금 결제, 납기 등 리스크를 관리해보세요. 그리고 리뷰를 남기면 스타벅스 커피 쿠폰도 드리고 있답니다.
3-4) 기업 상세보기
기업명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우측의 건설사 상세 정보 창이 생성돼요. 여기에서는 기업개요, 현장정보, 재무/신용평가, 실적/인증/신기술, 공사정보, 생산정보, 행정 공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