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내 건설사의 데이터센터 수주소식과 각종 투자 관련 소식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국내 주택 사업 경기가 불안정해지면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사업 방향을 다각화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총 3편으로 연재될 데이터센터 톺아보기 시리즈에서는 데이터센터가 무엇인지, 그리고 시장 현황과 쟁점은 무엇인지 세부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목차
3. 데이터센터 건립 쟁점
3-1) 데이터센터와 전력, 그리고 환경
3-2) 수도권에 집중되어있는 IDC
우리나라의 데이터센터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중국과 일본에 비해 지리적·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아태지역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죠. 더불어 우리나라는 데이터센터가 위치하기 여러 이점이 있는데요. 전국적인 네크워크 인프라가 발달되었고, 국내 산업용 전기료는 매우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외적인 수요의 증가와 좋은 환경이 맞물리며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이 크게 열리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한 부분도 존재하는데요. 이를테면 환경과 전력문제, 수도권 집중 문제가 있죠. 각각 어떤 내용인지 세부적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데이터센터는 다수의 서버와 전산장비가 24시간 작동되고 있어 원활한 전력공급 시스템과 냉각시스템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결국 전력의 사용은 탄소 배출로 이어지게 되죠. 즉, 데이터를 보관하는데 많은 양의 탄소가 배출된다고 볼 수 있는데요. 메일 한 통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및 보관하는데 4g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고 하죠.
2020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은 200~250TWh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는 세계 15위 전력 소비국인 인도네시아와 맞먹는 규모입니다. 데이터센터가 많은 양의 전력을 사용하는 만큼, 기업들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전력 효율을 끌어올리는 방안을 택하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분포는 냉방에 50%, IT장비에 35%, 손실 15%로 알려져있습니다. 서버와 전산장비가 사용하는 전력보다 냉방에 사용하는 전력이 훨씬 높다는 의미인데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 ‘냉방’에 사용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해 핀란드와 같은 극지방에 위치하거나, 해저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죠.
전력 효율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척도로는 전력사용효율, PUE(Power Usage Effectiveness)가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총전력을 IT장비가 소비하는 전력량으로 나누는 건데요. 1에 가까울수록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데이터센터 각은 PUE 1.09를 달성하며 데이터센터의 친환경 정책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요. 온도가 낮고 통풍이 잘되는 강원도 춘천에 위치시켜 냉방에 들어가는 비용을 크게 절감하였죠.
올해 3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살펴보면 ‘29년까지 신규 데이터센터의 82%가 수도권에 위치할 예정인데요. 많은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위치하고자 하는 이유는 간단한데요. 대부분의 데이터센터는 자사용이 아닌 기업에게 임대하는 코로케이션으로 운영하고 있죠. 직원의 정주여건이나 인력풀의 모집에 있어서도 수도권이 용이하기 때문에, 입주 기업의 수요가 수도권에 발생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부는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집중될 경우 전력공급에 무리가 가고, 재난·재해 발생 시 전국적인 인프라 마비가 발생할 수 있어 지역적 분산이 필요하다고 말하는데요. 실제로 산업부에 따르면 ‘29년까지 수도권 지역 신규 데이터센터 신청 사업지 601개소 중 40개소만 전력의 적기 공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현재로선 전력망 보강을 위한 추가 투자가 불가피한데, 이는 또 다른 전기요금의 인상 요인이 될 수 밖에 없죠.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자 정부는 전력계통 부담이 큰 지역에는 데이터센터와 같이 대규모 전력수요시설의 입지를 제한하기 위해 전기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했는데요. 앞으로 한전은 해당 시행령에 의해 주변 시설의 전기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신규 데이터센터의 전기공급을 유예하거나, 거부할 수 있게 됐죠.
반면 데이터센터의 지역 분산을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인센티브책을 마련하고 있는데요. 비수도권에 신규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경우 시설 공사비를 절반으로 감면해주거나, 예비전력요금을 면제해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관계 부처 및 지자체 합동 TF팀을 구성하여 패키지형 인센티브를 개발할 예정이죠.
전력문제, 수도권 집중 문제 등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가 존재하지만 데이터센터가 미래 산업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데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의 ‘Data Centres and Data Transmission Networks’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10년 동안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이 20배 이상 증가한 반면 탄소 배출량은 완만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했는데요. 이는 기업의 탈탄소화 정책과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기술 발전으로 가능해진 것이죠. 데이터센터 시장이 더욱 성장하고 있는 만큼, 여러 기술 투자와 정책으로 전력과 수도권 집중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산군 콘텐츠 저작권 안내
모든 산군 콘텐츠는 관련 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무단 전재, 재배포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